[펌] 유니스트3D가 가지는 의미
Unity3D 2012. 9. 10. 15:41http://korea.unity3d.com/board/?db=datalist
<유니스트3D가 가지는 의미>
1. 유니스트3D의 장단점
유니스트3D가 가지는 의미는 단순한 웹 3D 게임 툴이 아니다.
아니 오히려 웹 3D 게임을 만들면 유니스트가 가진 이점은 오히려 결점으로 만든다.
웹 3D 게임 엔진은 대단해 보이지만 단순하게 생각하면 [인터넷 익스플러로]로 최소한의 플러그인만을
다운 받고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문제는 여기에 있다. 예를 들어 3D MMORPG를 웹 게임으로 만들었다고 하자 거기서 얻을 수 있는
이 점은 뭘까?
1. 다운 없이 즐기는 3D 게임
2. 저사양에서도 안정적으로 돌아가는 3D 게임
이 2가지 뿐이다
그렇다면 반대로 단점은?
1. 클라이언트 기반에 비해서 부족한 조작성
2. 클라이언트에 비해서 부족한 표현력
3. 클라이언트보다 몇배에 달하는 서버 트래픽
등이 있다 .
만약 3D MMORPG를 즐기는 기존의 하드코어 유저의 경우 차라리 처음 시작 할 때 대 용량 클라이언트를 설치한 뒤 쾌적하고 화려한 플레이를 선호하지 다운 받을 필요가 없는 이점 때문에 조작감과 게임성이 떨어지는 웹3D MMORPG 게임을 하진 않을 것이다.
즉 신생 게임 엔진인 유니스트 3D 기존의 게임과 다른
신생 엔진에 어울리는 거기에 맞는 게임 컨텐츠가 필요한 것이다.
2. 2. 유니스트3D에 어울리는 컨텐츠
유니스트에 어울리는 [컨텐츠]라고 칭한 것은 유니스트에 가장 어울리는 것은 [게임]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걸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일상 속에 가장 깊이 파고든 2가지 컨텐츠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웹과 게임 이 두 가지는 현재 사람의 생황에 가장 접근한 IT라고 할 수 있다.
- 웹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유저 연결망을 말한다. [싸이월드 / 페이스북 / 구글 / 네이버]등
유저와 유저 /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거기서 나오는 광고라는 경제적 가치로서 수익을 낸다
즉 웹 기본은 사람으로 사람과 사람간이서 만들어내는 정보와 커뮤니티에 기반을 둔다,
반대로 말하자면 사람이 없다면 거기서 할 수 있는 것은 극단적으로 적어지고
초기 유저를 많이 차지한 웹 사이트는 특별한 사건이 없는 이상 후발주자가 따라잡기
매우 어렵다
- 게임은 플렛폼은 다양하지만 그 기본은 결국 ‘재미’다. 웹과 다르게 게임은
준비된 재미라는 상품으로 사람을 끓어 보인다. 그리고 사용자들이 게임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 부가가치를 매겨 그 판매 수익으로 경제적 수익을 낸다.
즉 게임은 재미로서 유저들을 끌어들이기 때문에 웹에 비해서는 사용자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으며 오히려 개개인의 개성에 맞추는 것이 더 필요하다 또한 재미를 이루는 요소는 시간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에 후발주자가 성공한 경우고 드물지만 존재하며 웹과 다르게 자체적으로 생산 판매할 수 있는 컨텐츠가 존재한다.
왜 이런 특징을 가지게 되었을까?
그건 시각과 체감의 유무와 담당하는 영역의 차이 이 2가지 때문이다.
웹이란 컨텐츠는 거하게 말해도 결국 텍스트와 이미지다.
눈에 보이는 텍스트와 이미지는 결국 서비스와 정보의 영역이며 이것이 웹에서 가지는 가치는 그 자체가 돈이 되기는 어렵다
대신 접속 및 이용이 간편하며 웹 자체의 컨텐츠 역할을 하는 정보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 컨텐츠는 유저가 만들어내는 컨텐츠가 대부분이며 그것은 웹 자체의 소유가 아니다.
또한 서비스 자체에 유료를 할 경우 유저들은 모이지 않으며 자연적으로 웹의 이용자는 줄어들고 다른 웹 사이트가 그 자리를 대체하기 되는 후발 주자의 기회까지 주게 된다.
웹에서 1인자만이 살아남는 다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사용자의 눈을 광고라는 매체로 환전을 해야지만 가치를 가지지만 그 사용자의 눈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게임은 사람의 시각과 체감을 직접적으로 자극 할 수 있다.
그것을 통해 사용자 스스로에게 게임에 대한 가치를 지불하는 것에 대해서
납득을 하게 만들고 그 과정을 통해서 소비가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그 가치를 느끼기 까지는 사용자 본인의 시간 또한 많이 소비를 해야 되며
또한 소비를 한다고 사람의 개성이라는 것이 대해서 가치의 차이가 생겨버려
그 결과 게임의 사용자는 웹의 사용자에 비해 적을 수 밖에 없게 된다.
시각적 체감적 자극은 없지만 정보와 생활에 유용한 서비스가 존재하는 웹
시각적 체감적 자극은 있지만 개성과 시간을 소비를 해야 되는 게임
두 IT 컨텐츠의 차이는 이런 담당하고 있는 영역에서 난다.
그렇다면 이 웹과 게임의 장점을 합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단순히 웹에 게임을 실행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일까?
아니다 그건 단순히 웹에서 게임을 실행 시킨 것 뿐으로 소비되는 시간에 대해서는 변하지 않는다.
게임에서 웹의 정보를 알 수 있게 만드는 것일까?
아니다 게임 중의 정보는 웹의 자신의 것일 뿐 게임이라는 컨텐츠를 즐기는 대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느 쪽도 정답이 아니라면
결국 정답은 만드는 수 밖에 없다.
게임과 웹의 본질 그 자체를 합치는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웹이 가진 [생활과 정보]의 영역과 간편한 이용에 게임이 가진 [시각적 체감적 자극]을 부여하여
유저들에게 기존에 느낄 수 없었던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가능한 것이 바로 ‘유니트스 3D 엔진’이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2-03-08 15:12:53 [복사본] 개발강좌에서 이동 됨]'Unity3D'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ender3D] Edit Mode에서 Vertices 선택시 (0) | 2012.09.12 |
---|---|
Blender 2.6 Tutorial 12 - UV Mapping (Image Textures) (0) | 2012.09.11 |
Make sure the Occlude background geometry option is "off" (0) | 2012.09.06 |
Blender Cookie 에어리언 튜토리얼 (0) | 2012.09.05 |
Blender 3D useful shortcut keys (0) | 201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