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8.02.22 수업내용

일등하이 2018. 5. 15. 21:15
반응형
1. 변수값을 초기화 
2. 조건 검사 
3. 본문 실행
4. 연산자 실행
5. 조건검사 
6. 조건이 true면 3번으로 false면 반복문 종료 
조건이 항상 true면 무한루프에 빠질수 있으니 주의 할것


// 주석이라고 함 , 코드 설명 할때 사용됨 , 남용금지 


변수명: 띄어쓰기 안댐, 앞에 숫자 안댐, 단어와 단어사이에는 대문자로 구별하는것 추천 
ex) int monsterHp = 10;


사칙연산 
연산자 +, -, *, /를 통한 사칙연산 
사칙연산을 통해 int형 변수와 float형 변수의 차이점을 실습 
7 / 3 계산기로 확인해본 결과 2.3333이 나왔음 
코드상에서 int a = 7 / 3; 을 해본결과는 2가 나왔음 
float b = 7.0f / 3.0f; 를 해보니깐 2.3333이 나왔음 



[변수 타입]
float : 부동소수점 타입 (소수점이 있는 숫자) : F, f는 접미사임 
(부동소수형(floating point number type)을 일반적으로 수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바꾼다면 '실수'-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말한다. 가장 익숙한 실수의 예는 '3.141592' 일 것이다. 컴퓨터에서 소수점을 갖는 실수를 다루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고정소수형'과 '부동소수형'인데, 고정 소수형은 소수점의 위치가 정해져 있어서 소수점 이상의 자릿수와 소수점 이하 자릿수가 제한 되어있는 방법이고, 부동소수형은 소수점 위치가 정해져있지 않고, 소수점이 없는 값과 소수점의 위치를 표기하는 방법이다.[1]사실 '부동소수형'이라는 단어는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단어중 하나 인데, '부동(浮動)'이라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기 때문 일 것이다.[2] '부동소수형'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마치 소수점이 꼼짝 않고 제자리에 있다는 의미로 이해 될 텐데, 실제는 '소수점이 떠다니는'이라는 의미이다.)

int : 정수형 타입 (소수점이 없는 숫자)
string : 문자열 타입 

[과제]
int, float, string형 타입으로 변수를 선언하고 
사칙연산을 통해 콘솔창에 로그를 출력 해보세요.


반응형